허브 / 스위치 / 라우터 / 공유기
1. 허브(Hub)
- 여러대의 컴퓨터를 연결해서 네트워크를 만들어주는 장치
- 데이터패킷을 받으면 연결된 모든 장치들에게 모두 전송
- 모든 장치들이 데이터 패킷을 받고 자신에게 온 데이터 패킷인지 확인하고 필요하면 취득
- 즉, 단순 분배를 하는 중계장치
- 물리계층에서 사용
cf) 허브는 모든 연결된 장치들에게 패킷을 뿌리기 때문에, 데이터 전송대역을 분리해서 사용한다. 예를들어 원래 허브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500Mbps라고 하고 장치 5대가 연결되어 있으면 대역폭은 100Mbps 로 나눠지게 된다.
2. 스위치
- 연결된 장치들의 IP와 MAC주소를 모두 테이블형태로 가진다.
- 원하는 목적지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장치 -> 허브와 달리 스위치는 무작정 데이터 패킷을 뿌리는 것이 아니라 IP, MAC주소를 기반으로 필요한 장치에게만 데이터 패킷을 전송.
-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사용
Ex) 87.90.40.2:5000라는 IP와 Port로 요청이 들어왔다고 가정.
- 이 경우 스위치는 해당 요청을 받아서, 테이블에서 요청된 IP와Port에 해당하는 MAC주소를 찾고, 해당 MAC주소를 가진 장치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해준다.
- 만약 IP주소와 Port에 일치하는 MAC주소가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허브처럼 모든 장치들에게 데이터 패킷을 뿌려서(포워딩해서) 테이블을 갱신. -> 허브와 동일한 동작
- 허브에서 언급한 예제와 동일한 데이터 전송속도를 스위치가 가지고 있으면 장치가 5개 연결되어 있어도 하나의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대역폭이 500Mbps로 유지된다.
3. 라우터
- LAN(Local Area Nework:근거리통신망)을 연결해주는 장치
- 데이터를 전송할 때 최종 목적지에 가기 위하여 거쳐야 하는 많은 경로들 중에 적절한 통신 경로를 결정하기 위하여 한 통신망에서 다른 통신망으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장치
- 가장 적절한 통신경로를 이용하여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장치.
-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 운영하는 통신망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경로를 설정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핵심적인 통신장비.
-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
4. 공유기
- ISP(Internet Service provider)업체(KT, SKT, LGU+)에서는 IP를 제공하고, 소비자는 해당 IP를 구매해서 사용할 수 있다.
- 집이나 회사에서 해당 IP를 통하여 여러 장치들을 사용하고 싶을 경우가 있다.
- 이런 경우에 공유기를 사용하여 여러 노트북과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장치들을 인터넷에 연결 할 수 있다.
- ISP에서 제공해주는 IP는 외부IP, 공유기를 통해서 내부의 컴퓨터들이 사용할 수 있는 IP는 내부IP라고 한다.
- 공유기는 허브 기능을 포함.
참고자료
허브, 라우터, 공유기, 스위치의 개념과 차이점 - Easy is Perfect (melonicedlatte.com)